"스포츠 7330" 일주일에 3번! 하루 30분 운동!     "승리를 향한 열정의 샷!!"     대구광역시 테니스협회 http://www.tgtennis.co.kr
포토겔러리
동영상겔러리
테니스코트소개
테니스교실
각종규정
관련사이트
2025년 제29회 수성
레드볼대회 수성구
제2회군위군시니어
건행배장년부동호인
대구스타 테린이 혼
2025 성주참외배 테
제7회 대구부부 전
제1회 GLS OPEN 지
2025년 어버이 생활
● 관련단체홈페이지
 
작성일 : 04-11-12 01:11
[고급자] 서비스가 좋은 상대에 대한 게임 플랜
 글쓴이 : 이명희
조회 : 17,218  





1. 서브가 좋은 상대에 대한 게임 플랜




복식에서 서브가 좋은 상대와 대전했을 때의 리턴 게임은 어쨌든 칠 수 있는 코스로 리턴하는 수 밖에 없다. 서브가 올 확률이 높은 코스로 포지션을 잡고 크로스로 낮게 보내는 노력을
해야 한다. 크로스로 칠 수 없을 때는 스트레이트 로브를 올려 수비에 치중하든지 스트레이트
공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리턴 실수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대 코트로 리턴을 하는 것이
상대에게 부담감이 된다.


▶ 각도있는 서브가 들어오면스트레이트 리턴도 OK




상대의 서브가 각도있게 들어왔다면 리시버는 무리하여 크로스로 치지 말고 스트레이트 공격을 해보자. 만약 이 볼을 무리하게 크로스 리턴하면 상대에게 찬스볼을 주기 쉽다. 이때 파트너인 전위는 두 가지 일을 확실히 해야 한다. 우선 파트너(리시버)가 코트를 벗어났기 때문에 두사람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센터로 이동한다. 그리고 파트너가 친 볼을 상대 전위가 어느 곳으로 발리해도 칠 수 있는 준비를 한다. 복식은 단식과 달리 리시버가 사이드로 벗어나도 전위가 빈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림설명) 리시버가 사이드로 벗어났다면 전위는 센터로 이동하여 다음볼을 준비한다.


▶베이스라인에서 수비를 강화하는 작전

상대의 서브가 좋아 리턴이 뜨게 되면 상대 전위에게 발리로 결정당하게 된다. 그것을
막기 위해서는 리턴 게임을 할 때 전위가 베이스라인까지 물러나 두 사람이 수비를
굳히는 작전도 좋다. 프로들 경기에서도 상대 첫 서브를 리턴할 때에 이 진형을
잘 사용한다. 베이스라인에서 평행진을 구사할 경우, 두 사람이 베이스라인에 나란히
서게 되면 네트 가까이의 볼이나 중앙으로 오는 볼에 대처하기 어렵다.

사진과 같이 리턴하지 않는 사람이 베이스라인 안쪽으로 들어와 서면 상대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





서브가 강한 상대에게는 전위가 뒤로 물러나
두 사람이
수비를 굳힌다. 한 사람이 베이스라인
안쪽으로 들어와 엇갈리게 서면 수비하기가 더 좋다.
















그림설명) 빠른 서브에 대해 콤팩트하게 맞추어 리턴하는 토지아


빠른 서브에는 상체를 세우고 맞추는 리턴으로




상대의 서브가 빠를 때에는 축을 무너뜨리지 않고 콤팩트하게 리턴을 해야 한다. 빠른 서브에 대해서 몸이 숙여지면 타점은 뒤가 되며 스윙도 제대로 되지 않는다. 상체를 세운 자세로 축을 유지한 채 친다. 토지아의 연속사진을 보면 콤팩트한 테이크백을 하여 볼을 맞추고 있다. 상체를 곧게 세워서 치고 있기 때문에 팔도 자연히 앞으로 휘두르게 된다.






















2. 서브가 쉬운 상대에 대한 게임 플랜

서브가 강하지 않은 상대와 대전할 때의 리턴 게임은 여러가지 패턴으로 공격할 수 있다. 크로스로 치고 리턴 대시하는 것이 정석이지만 상대 전위의 포치를 염두에 둔다면 스트레이트로 공격하고 리턴 대시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어느 경우든 라이징샷을 치고 리턴 대시하면 상대에게 부담감을 줄 수 있다.

라이징샷을 치고 리턴 대시




상대의 서브가 느릴 때에는 라이징샷을 치고 리턴 대시하자. 볼을 기다려서 치는 것이 아니라 볼이 바운드하여 올라올 때 친다. 앞으로 나오는 흐름 속에서 콤팩트한 테이크백을 하는 것이 라이징 리턴을 하는 비결이다.

전위는 파트너가 친 방향으로 나간다




전위는 파트너의 크로스 리턴에 의해 포지션과 자세가 바뀌게 된다. 그림과 같이 파트너(리시버)가 친 방향으로 다가가 상대에게 부담감을 주는 것이 기본이다. 또한 파트너의 리턴이 좋으면 보다 공격적으로 앞으로 나오고, 파트너의 리턴이 약하면 약간 뒤로 물러나 수비한다.











▲ 전위는 파트너가 친 리턴의 방향으로 다가간다.












포인트를 얻고 있을 때는 패턴을 바꾸지 않는다
복식에서 리드하고 있을 때는 흐름을 바꾸지 않는 것이 기본이다. 가령 40-0로 포인트를 리드하고 있을 때 뭔가 새로운 플레이를 시도해 보고자 하는 마음이 생길지 모르지만 패턴을 바꾸지 않는 것이 좋다. 오히려 상대 팀이 플레이를 바꾸어 도전할 것이기 때문에 무엇이 일어날 지 알 수 없는 일이다. 패턴을 바꾸면 흐름이 바뀌어 역전될 위험성도 있기 때문이다.














그림설명) 대시는 하지 않았지만 볼이 올라올때 친 힝기스의 라이징 리턴




스트레이트 로브 공격은 로브를 올린 후의 포지션이 중요
리턴을 스트레이트로 로브를 올리고 네트 대시할 때 중요한 것은 로브가 상대 전위의 머리를 넘어간 후의 포지션이다. 리턴 로브를 한 사람이 서비스라인의 앞까지 다가오고 파트너가 서비스라인 뒤에서 준비하는 패턴이 있고, 전위가 센터 쪽으로 다가가고 리턴 로브를 한 사람은 서비스라인 뒤쪽에서 준비하는 패턴이 있다.

물론 모두 맞는 방법이다. 로브가 상대 머리를 넘어가면 찬스이기 때문에 네트 앞으로 대시하는 것은 필요하다. 하지만 로브를 당한 상대팀이 또다시 로브로 응수해올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둘 중 한 사람이 약간 뒤로 물러나서 자리를 잡는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5-01-14 13:53:55 고급자교실에서 이동 됨]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
 
   
 


대구 두류공원로 161,유니버시아드 테니스장 내 대구광역시테니스협회
협회장 : 윤만수     사무국장 : 신동철     협회전화번호 053 357 1679 / 팩스번호 053 358 1679
COPYRIGHT(C)1998-2008 DSWEB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