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7330" 일주일에 3번! 하루 30분 운동!     "승리를 향한 열정의 샷!!"     대구광역시 테니스협회 http://www.tgtennis.co.kr
포토겔러리
동영상겔러리
테니스코트소개
테니스교실
각종규정
관련사이트
2025년 제29회 수성
레드볼대회 수성구
제2회군위군시니어
건행배장년부동호인
대구스타 테린이 혼
2025 성주참외배 테
제7회 대구부부 전
제1회 GLS OPEN 지
2025년 어버이 생활
● 관련단체홈페이지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5-01-14 13:53:55 고급자교실에서 이동 됨]
작성일 : 05-09-07 02:29
[고급자] 탑스핀이 걸리지 않을땐
 글쓴이 : 이명희
조회 : 25,524  










Q 톱스핀이 걸리지 않는다
A 라켓헤드를 내리는 방법을 익히자






원인: 그립이 얇고 라켓이 서있다
우선 톱스핀이 잘 걸리지 않는 주된 원인으로는



라켓헤드를 내리지 않아 아래에서 위로 휘두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그립이 얇은 경우(콘티넨탈 그립)는 헤드를 세우기 쉽기 때문에



스핀을 걸기 어려워진다(그림 오른쪽).



테이크백에서 면이 위를 향하면 스핀이 걸리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안정성도 나빠지기 때문에 최악이다.
또 한 가지 옆으로 휘두르는 모양이 되는 것이 원인인 경우도 있다.



특히 한손 백핸드에서 톱스핀을 걸기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은 타점을 앞에 두고



세로 스윙을 하면



자연히 스핀이 걸리기 때문에 시도해보자.



양손의 경우는 테이크백에서 헤드를 내리는 것만으로 가능하다.

해결법 ①
얇은 그립에 원인이 있는 사람의 경우,



포핸드에서는 그립을 약간 두텁게 하여 라켓면을 엎어 테이크백을 하면 스핀을 걸기 쉬워진다.



그래도 스핀이 제대로 걸리지 않는 경우는 시계추와 같은 스윙을 의식해보자.
그립의 두께를 바꾸지 않아도 손바닥에 닿는 그립엔드의 위치를 바꾸어도 톱스핀을 걸기 쉽다.



그립을 두텁게 잡는 것이 익숙하지 않는 사람에게 좋은 방법이다.



한손 백핸드의 경우는 그립을 바꾸지 않아도 손목의 각도를 바꿈으로서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톱스핀을 걸기 어려운 타법

이와 같이 라켓헤드를 세우고 헤드가 그대로 앞으로 나오는 타법은 톱스핀을 걸기에 적합하지 않다(얇은 그립의 사람에게 많고 밀어내는 감각이 강한 타법).
























이형택의 톱스핀을 걸기 쉬운 스윙

스윙의 초기에는 라켓면이 아래로 향하고 있으며



서서히 위로 스윙하면서 볼을 잡고 있다.











톱스핀을 걸기 쉬운 타법

톱스핀을 걸기 쉬운 타법은?



테이크백에서 라켓면을 아래로 향하고 그 라켓면이



점점 세워지는 스윙이다.



통상적인 타점이라면 아래에서 위로의 스윙이 되어 자연히 톱스핀이 걸리게 된다. 또 임팩트 전에 어느정도 라켓헤드를 아래로 내리는가에 따라 스핀의 양을 가감할 수 있다. 그립은 어느정도 두텁게 하는 것이 라켓면을 엎기 쉽다.

















세레나의 플랫계 리턴

테이크백(사진1)에서 라켓을 세운 상태에서(면도 너무 엎지 않는다) 헤드를 내리지 않고 그대로 휘두르고 있기 때문에 거의 플랫 타법이 되고 있다.




힐의 위치에서도 큰 차가 나온다
그립의 두께 뿐만 아니라 제6 손가락이라고 할 수 있는



힐(heel 붉은 점)의 위치에 따라서도 톱스핀을 걸기 쉬울 수 있다.



아래 사진처럼 힐을 그립엔드의 위에 얹듯이 쥐면 스핀을 걸기 어려워지지만(발리에는 적합) 위와 같이 힐을 그립의 뒤쪽에 대면 라켓헤드가 눕게 되기 때문에 얇은 그립이라도 스핀을 걸기 쉬워진다.










백에서는 손목의 각도로 조절

한손 백핸드에서는 그립이 얇은 사람이라도 오른쪽 사진처럼 손목을 손바닥 쪽으로 구부리면 그립을 두텁게 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톱스핀을 걸기 쉬워진다(단 손목과 힘이 약한 사람에게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다).






















샘프라스의 얇은 그립에서의 톱스핀

팔꿈치부터 당기는 테이크백으로 면을 아래로 향했다가 라켓면이 서서히 위를 향해가는 스윙을 하여 톱스핀을 걸고 있다. 임팩트에서도 팔꿈치를 뒤로 당긴 형이 유지되고 있다.


해결법 2
그립을 바꾸고 싶지 않는 사람은 팔꿈치를 위로 당기듯이 테이크백 하면(그림 왼쪽) 라켓면을 엎기 쉬워져 세로 스윙이 되면서 스핀도 걸기 쉬워진다. 그립이 얇은 사람은 동시에 손목을 등 쪽으로 구부리면 보다 효과적이다. 헨만과 샘프라스, 카펠니코프, 은퇴한 그라프 등이 이러한 타법을 하고 있다.
낮은 타점부터 연습하면 볼에 회전을 거는 감각을 익히기 쉬울 것이다.



또 스핀은 걸리지만 불안정한 사람의 경우 '손목을 유연하게 사용하지 않으면 회전이 걸리지 않는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목을 고정하고 있어도 톱스핀은 칠 수 있기 때문에 손목을 지나치게 많이 움직이면 안정성을 잃게 된다. 특히 포워드 스윙시 라켓면을 엎는 리스트 워크(wrist work)는 나쁜 예라고 할 수 있다(그림 오른쪽).












팔꿈치를 뒤 당기고 손목을 손등 쪽으로로 구부리는 형을 만들어 팔꿈치를 높게 올리듯이 테이크백하면 얇은 그립이라도 테이크백 때 라켓면을 엎기 쉬워진다. 세로로 휘두르는 스윙을 의식하면 톱스핀을 걸기 쉬워지기 때문에 그립을 바꾸지 않는 사람에게 권할만한 방법이다.

이와 같이 라켓면을 엎는 리스트 워크는 무리하게 스핀을 걸려고 할 때 일어나는 대표적인 나쁜 예이다. 이 타법에서는 약하게 스핀을 걸 수 있지만 강한 볼은 치기 어렵고 면의 방향이나 터치도 불안정하기 때문에 안정된 샷은 칠 수 없다.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
 
   
 


대구 두류공원로 161,유니버시아드 테니스장 내 대구광역시테니스협회
협회장 : 윤만수     사무국장 : 신동철     협회전화번호 053 357 1679 / 팩스번호 053 358 1679
COPYRIGHT(C)1998-2008 DSWEB ALL RIGHTS RESERVED.